본문 바로가기
초보를 위한 정보

재활용품 폐가전 대형폐기물 등 생활폐기물 처리 방법 모두 알려드립니다.

by ceco 2023. 4. 2.
반응형

쉽고 간단하게 앱을 이용하여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과 평상시 각종 용품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모두 알려드립니다. 대표번호를 제외하면 소개드리는 업체들은 대부분 창원시 진해구 위주임을 알려드립니다.

 

 

 

 

 

 

지구 온난화의 가속으로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는 지금, 재활용품에 대한 처리가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의미로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는 방법을 제일 먼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재활용품 분리배출

 

[ 배출하는 방법은 모두 다릅니다. 확인하세요! ]

▶ 종이류

택배 박스에 부착된 송장번호와 테이프를 제거합니다. 오염되지 않은 종이만 재활용이 가능하기에 오염되어 있거나 물기에 젖은 것은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 투명페트병

내용물을 비우고 라벨은 떼어낸 후 부피를 줄여서 배출합니다.

 

▶ 플라스틱류

PVC, OTHER는 재활용이 불가하니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합니다. 그 외의 플라스틱 용기는 물로 헹군 후 분리배출합니다.

 

 

▶ 캔과 고철류

음료수캔, 맥주캔, 스탠류, 알루미늄, 철판, 부탄가스용기, 철사

 

 

▶ 유리병류

드렁크병, 주스병 기타 잡병류

 

 

▶ 필름포장재

라면봉지, 과자봉지 등 리필용 포장재

 

 

 

 

 

폐가전 무상 수거 대형폐기물 배출

 

1.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 알려드립니다. 

(한국 전자제품 자원 순환 공제조합에서 운영) 

 

 

쉽고 간단한 원스톱 간편 예약으로 무상 수거 가능합니다. 수거 기사님이 원하는 장소로 방문하여 무거운 폐가전을 직접 수거해 가십니다.

간편 예약 무상 수거

 

 

▶ 수거 가능한 품목입니다. (원형 보존된 폐가전 제품)

① 냉장고 (가정용 / 업소용 / 김치냉장고 / 냉동고 / 쇼케이스 등)

② 세탁기 (일반세탁기 / 드럼세탁기 등)

③ TV 텔레비전 (LCD / LED / CRT / 프로젝션)

④ 공기청정기 , 식기세척기, 전기오븐레인지, 식기건조기, 냉온정수기, 전자레인지, 러닝머신, 복사기, 자동판매기

⑤ 에어컨 (실내기 / 실외기 / 일체형 등)

⑥ 세트품목 : 데스크톱 PC (본체 + 모니터) , 전축 (구형 오디오 세트)

⑦ 수량을 기준으로 5개 이상을 동시 배출 시 수거가 가능한 품목

: 노트북, 모니터 (CRT, LCD), PC본체, 오디오 (본체, 컴포넌트), 프린트 (잉크젯, 레이저), 음식물처리기, 전기비데, 전기히터, 가습기, 다리미, 선풍기, 믹서기, 청소기, 연수기, 팩시밀리, VTR

 

 

 

 

▶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5개 미만의 폐가전은 수거하지 않습니다. 대신 해당 동행정복지센터에서 배출이 가능하니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훼손된 폐가전은 무상수거가 되지 않으니 대형폐기물로 신고를 하고 수수료를 내셔야 합니다.

 

 

 

폐가전 제품 배출 예약 시스템 이용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배출예약을 합니다.

: 콜센터 (1599-0903) 혹은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 홈페이지

폐가전 제품 배출 예약 링크입니다

 

② 방문일을 확정합니다.

 

③ 기사님이 직접 방문하여 무려 수거해 가십니다.

 

 

 

수거 예약으로 배출하셔도 되는 폐가전이 혹시라도 사용 가능한 것이라면 녹색가게나 아름다운 가게 등에 기증을 하시면 어려운 이웃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2. 대형폐기물 신고와 배출 요령 알려드립니다.

 

가정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 중 봉투에 담을 수 없는 대형 폐기물은 배출하시기 전에 내가 살고 있는 곳의 해당업체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신고된 폐기물은 수거 당일 현장에서 수거되고 항목별로 요금표에 적힌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수수료 영수증을 발부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의 처리 과정을 확인하시고 대형폐기물을 배출하실 때 주의사항 역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가급적이면 수거 당일에 배출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벽돌, 폐목재류, 도자기류 등의 대형생활폐기물 항목에 열거되지 않은 물품은 종량제 마대에 담아서 배출을 하셔야 합니다. 기억해 두세요!

 

 

 

▶ 대형폐기물 배출 신청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앱), '빼기'

 

 '빼기'라는 앱을 통해, 폰을 이용하여 대형폐기물 배출 신청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직접 신청할 시간이나 여유가 없으신 분이나 혼자서 물건을 버리기 힘든 분들 또는 버리기보다 중고 판매를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앱 서비스입니다. 

 

 

세 가지 배출 서비스

 

 

다양한 폐기물 배출 방법을 모바일 서비스로 이용하시려면 아래의 QR 코드를 내 핸드폰 카메라로 보시면 됩니다. (QR 코드 리더 앱) 이제  '빼기' 앱을 설치할 수 있는 페이지로 바로 갑니다.

'빼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빼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시고 실행하셨다면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대형폐기물을 수집 운반 시 수수료는 모두 다르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행이나 구매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썸네일 사진을 클릭하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썸네일 클릭 ↙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급받는 방법 링크입니다

 

 

 


▶ 창원시 진해구의 대행 업체에 신고할 수 있는 업체 알려드립니다.

동성산업(주) 055-542-5050

충무동 (중앙태평충무), 태백동, 여좌동, 경화동, 병암동, 이동, 석동, 자은동, 풍호동, 덕산동

 

② (주)신일환경산업개발 055-551-3312

웅동1동, 웅동2동, 웅천동


 

▶ 소화기는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혹시 아시나요?

 

소화기 역시 대형폐기물로 신고하고 배출하면 되는데요 개수에 따라 요청하는 업체가 다릅니다. 10개 이상의 소화기는 '한국소방안전사회적 협동조합' (1522-5119)으로 수거 요청 하시면 되고 10개 미만의 소화기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대형폐기물 신고 업체로 연락을 주시면 됩니다.

저희 지역인 창원시 진해구의 경우 위에 써 놨던 동성산업(주)이나 (주)신일환경산업개발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공사장 생활폐기물 처리

 

일련의 공사 또는 작업을 시작할 때부터 마칠 때까지 발생하는 폐기물의 총량 (가연성 + 불연성)이 5톤 미만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을 공사장 생활폐기물이라고 말합니다.

 

 

1. 흙, 돌, 유리, 타일, 벽돌, 콘크리트 등의 5톤 미만 불연성 폐기물

 

▶ 배출방법

   - 종량제 마대 (매립용)에 담아 배출합니다

   - 읍, 면, 동행정복지센터에서 불연성 생활폐기물 배출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

   - 개인 차량으로 직접 운반합니다.

   - 권역별 폐기물 매립시설로 반입합니다.

   - 반입수수료를 납부합니다.

 

 

 

▶ 반입수수료는 1톤당 25,000원으로 현장에서 결제하셔야 합니다.

 

 

▶ 반입장소는 내가 사는 곳마다 다릅니다. 

창원시 진해구의 경우 덕산생활폐기물매립장 (진해구 덕산동 549번지, 055-225-7801) 으로 반입하시면 됩니다.

 

 

▶ 샌드위치 판넬 처리방법은 3 업체 알려드립니다. 창원시 업체입니다.

   - 현대테크 343-3014

   - 태정비철금속 288-0322

   - 제일리싸이클링 345-2080

 

 

 

2. 폐목재 중간처리 (재활용) 업체 현황

지역 업체명 주          소 연락처 비고
창원 보성산업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진북산업로 493-40 (추곡리) 055-603-0001  
우리산업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진북산업로 465-61 (추곡리) 055-272-0014  
밀양 종합환경산업 밀양시 초동면 신연로 519 (봉황리) 055-391-7227  
김해 JC그린바이오 김해시 한림면 가동로 40 (가동리) 055-339-4460  
우원산업 김해시 한림면 김해대로 1531 (신천리) 055-343-1234  
자연산업 김해시 한림면 한림로 252번지 112 (안하리) 055-345-0011  
태경테크 김해시 주촌면 서부로 1499번길 112-24 (내삼리) 055-337-6565  
고성 경남자원 고성군 구만면 영회로 2019-39 (광덕리) 055-673-0203 순수목재만 가능

※ 목재 재질에 따라 처리비용이 상이하니 업체에 사전 문의를 하셔야 합니다.

 

 

 

 

 

생활폐기물 음식물쓰레기 배출 요령

 

1. 생활폐기물 구분하기

생활폐기물

가연성 생활쓰레기

불에 타는 일상생활쓰레기를 말하고 종량제 봉투 (소각용)에 버립니다.

 

 

② 불연성 생활쓰레기

불에 타지 않는 일상생활쓰레기를 말합니다. 그 종류로는 돼지나 소 등의 뼈, 깨진 유리, 항아리, 도자기, 조개, 굴껍데기, 우산뼈대 등을 말하며 종량제 마대 (매립용)에 버립니다.

 

 

③ 연탄재

적정봉투에 버리는 것과 종량제 마대에 버리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가정이나 차상위계층이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연탄재는 적정봉투에 버립니다. 사업장이나 화훼농가 등 사업활동에 수반되어 발생되는 다량의 연탄재는 종량제 마대를 이용하여 버립니다.

 

 

④ 페인트

집에서 나오는 소량의 페인트는 그것을 굳혀서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합니다. 사업장에서 대량으로 나온 페인트를 버려야 한다면 그것은 지정폐기물로 신고하신 후 처리하시야 합니다. 환경미화과 ( 548-4521)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⑤ 종량제 봉투에 들어가지 않는 폐기물 ( 창원시 진해구의 경우)

그것이 석고보드 등의 불연성 폐기물인 경우 자차를 이용하여 진해매립장으로 이동합니다. 가연성의 폐기물인 경우에는 사설 소각장을 이용하셔야 하는데 한미산업 ( 251-7272) 또는 창원에너텍 ( 273-0500)으로 문의합니다.

 

 

 

  배출 방법과 유의 사항 알려드립니다.

저녁 8시 ~ 밤 12시까지 배출을 하시는데 문전수거가 원칙이며 공동주택의 경우 지정된 장소에서 배출됩니다.

 배출요일은 종량제 봉투의 경우 화요일, 토요일을 제외한 모든 요일에 배출이 가능하고 종량제 마대의 경우 화요일에만 배출합니다.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거나 혼합배출 ( 안타는 쓰레기, 재활용품, 음식물류) 시 수거가 거부되고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종량제 봉투 무게를 초과한 경우 수거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종량제 봉투 (마대) 판매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5L 10L 20L 50L 75L 비고
종량제 봉투 (소각용) 170원 350원 700원 1,790원 2,690원 170원
종량제 봉투 (매립용)   430원 960원 2,430원    

※ 종량제 봉투 판매소 문의 : 창원시설공단 환경사업관리소 (712-0110)

 

 

 

▶  종량제 봉투 판매소 검색 방법입니다.

창원시설공단 홈페이지 접속 → 주요서비스 → 종량제 봉투 → 판매현황

 

 

 

 

 


2. 음식물 쓰레기 배출하기

화요일과 토요일을 제외한 모든 요일 전용용기에 담아 납부필증 (칩) 부착 후 배출합니다. 내 집 앞에 저녁 8시 이후 배출하시면 되는데 이쑤시개, 나무젓가락, 비닐봉지 등의 이물질은 분리하셔야 하고 청소업체 수거 후 전용용기는 다시 회수하여 관리하셔야 합니다. 회수하지 않으실 경우 분실과 파손의 우려가 있습니다.

 

 

음식물류 납부필증 (칩) 판매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2L 3L 5L 10L 20L 60L 120L
음식물류 납부필증 (칩) 70원 100원 170원 350원 700원 2,150원 4,310원

 

 

수거 용기 판매소 검색 방법 : 창원시 홈페이지 → 분야별 정보 → 농업환경 → 창원재활용센터 → 분리배출요령 →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지 않아 전용 용기 배출이 불가한 품목은 종량제 봉투 (소각용) 혹은 종량제 마대 (매립용)에 담아 배출하셔야 하는데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출을 위해 담아주실 때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된 상태로 버려주시면 제일 좋습니다. 확인해 주세요.

 

종량제 봉투 (소각용)에 배출하여야 하는 품목

① 알껍질 : 달걀류 껍데기

② 채소류 : 마늘대, 양파껍질, 옥수숫대

③ 과일류 : 복숭아, 살구씨, 호두나 밤등의 껍질

④ 곡류 : 왕겨

⑤ 기타 : 한약재 및 티백류 찌꺼기 등

 

 

종량제 마대 (매립용)에 배출하여야 하는 품목

닭, 돼지, 소 등의 뼈다귀와 조개, 꿀 등의 껍데기

 

 

 

 


3. 기타 수거 업체입니다.

폐식용유 수거업체 문의 : 유일오앤티 (1577-9129)

헌옷수거함 관련 문의 : 장애인협회 (543-7989)

 

 

 

 

 

 

 

 

 

쓰레기의 올바른 배출은 자원절약의 실천입니다.

조금은 귀찮으시더라도..

나 하나쯤이야-

라는 생각이 드셔도 바른 배출 방법을 실천해 주세요.

 

 

 

 

 

 

 

 

 

 

반응형

댓글